합류하게 될 팀에 대해 알려드려요
•
Research Lab 팀은 랩 캐즘의 연구 조직으로써, 데이터 분석가와 리서치 팀원이 함께 일하고 있어요.
•
국내외 인디음악과 음악 산업에 대한 정성/정량 리서치 리포트를 제작하여 인디음악씬의 발전을 위해서 기여해요
Lab Mision
•
국내외 인디음악을 주제로, Data에 기반한 정량 리서치 보고서를 제작합니다.
•
국내외 인디음을 주제로, 개념과 정의, 트렌드 분석 등에 기반한 정성 리서치 보고서를 제작합니다.
2024년 예정 업무
(1) 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모델링 프로젝트
•
음악은 여전히 데이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적습니다. 특히 한국의 스트리밍 서비스들은 OpenAPI도 제공하고 있지 않고, 그나마 데이터가 잘 제공되는 Spotify와 Apple Music의 국내 점유율은 매우 낮은 상황이죠.
•
그럼에도, 음원 유통사 혹은 KOPIS, 인디스트릿과 같은 통계를 잘 활용한다면, 어떠한 예측 모델링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아요.
(2) 정성 기반의 인디음악 리서치 리포트
•
국내 인디음악에 세대를 구분해보고, 이를 케이팝과 비교분석해봅니다.
•
인디 음악 정의의 모호성
◦
사실 국내에 “인디음악”이란 개념이 탄생한 이후로, 한 번도 그 정의에 대해 모두가 합의가 이뤄진 적이 없습니다. 어떤 아티스트에 대한 평가도 모호하구요. 사실 장르적인 특성도 띄는 것 같고, 아예 산업적인 특성을 띄는 것 같기도 합니다. 이런 모호성에 대해서 분석하고,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봅니다.
•
힙합과 스트릿댄스는 어떻게 서브컬쳐에서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왔을까?
◦
쇼미더머니, 스트리트우먼파이터 등, 서바이벌 프로그램에 의해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온 것은 사실입니다. 그러나, 인디음악을 주제로한 서바이벌 프로그램도 몇 있었건만, 왜 이들은 메인스트림으로 올라오지 못했을까요?
◦
단순히 방송의 퀄리티가 부족했을까요? 다른 원인도 찾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•
인디 음악 아티스트 성공사례 분석
◦
실리카겔의 붐은 정말로 “락 붐이 와버린 것인가”라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. 실리카겔 뿐만 아니라 웨이브 투 어스, 김뜻돌 등 조금만 있으면 메인스트림으로 성장할 것 같은 뮤지션들도 있죠.
◦
이전에도 종종 인디음악 붐은 있었습니다. 잔나비 - 새소년 - 혁오 - 장기하로 이어지는 “성공한 인디음악 아티스트”의 계보는 현재도 유지되고 있는 것 같죠.
◦
하지만 이러한 아티스트들에 대해 전문적인 분석이 이뤄지지 않습니다. “음악이 좋아서”는 지나치게 감상적인 접근인 것 같습니다. 다른 음악가들도 (개인의 주관에 따라 다르겠지만) 음악이 좋은데 왜 이 아티스트들만 성장할 수 있었을까요?
◦
그 성장원인에 대해 제대로 리서치를 진행해보고,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해냅니다.
함께 Research Lab을 만들고 있는 친구들
Search
모집하고 있는 공고를 확인해보세요!
Search
|